두꺼비 건강칼럼

소화불량을 유발하는 식습관

두꺼비 한의원 2023. 8. 3. 09:54

식체로 내원하시는 분들을 보면 안좋은 식습관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고쳐야할 식습관에 대해 말해볼까합니다.

 

1. '요즘 입맛이 없어서 밥에 물 말아먹는다'

물 말아 먹으면 넘기기는 좋겠죠. 대충 씹고 술술 마시면 되니까요.

하지만 넘기기 좋은 만큼 소화기관에는 부담이 됩니다.

제대로 안씹고 넘기니 입자가 살아있고

물 때문에 소화액도 희석되고...

밥은 꼭꼭 잘 씹어서 입자가 으깨지고 침과 섞인 상태로 넘기는게 좋습니다.

국물에 말아서 대충 삼키거나 밥 대신 죽을 먹는것도 비슷합니다.

쉽게 쉽게 잘 넘어간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2. 떡 먹고 체한 경우

떡은 곡식을 압축해서 만듭니다. 밥보다 훨씬 더 잘 씹어서 삼켜야합니다.

 

3. 빨리 먹는 경우

음식물에 은근히 빈 공간이 있습니다. 당연히 그 공간은 공기로 채워져있고요.

제대로 씹지 않고 삼키면 음식물에 미세한 공간이 있는 상태로 넘어가니 공기도 같이 넘어갑니다.

공기가 나중에 위로 올라올때 괄약근이 열리며 위에서 식도로 위산이 역류하게 됩니다.

식도는 위에 비해 위산에 취약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맵고 뜨거운 것을 먹는 경우

맵고 뜨거운 것은 자극적입니다.

혀와 입안에만 자극적인게 아니라 당연히 식도, 위 등 소화기관 점막에도 자극적이죠.

너무 매운거 먹지 말고 뜨거운 것은 식혀서 드시는게 좋습니다.

술 잘 마시는게 자랑이 아니듯 매운 거 잘 먹는 건 자랑이 아닙니다.

 

5. 찬걸 좋아하는 경우

냉면, 냉수, 아이스크림, 찬 과일들...

찬게 닿으면 혈관이 수축합니다.

혈류가 잘 모여야 해당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니 그 반대 상황은 당연히 안좋겠죠?

공복에는 찬것을 드시지 않는게 좋으며 

기호에 따라 찬 것이 땡기는 경우 벌컥벌컥 마시지 말고 입안에서 조금 오래 머금고 있다가 삼키는걸 권합니다.

입안의 청량감도 더해질 것입니다.

 

6. 끼니를 거르는 경우

소화기관은 음식물이 들어와야 활동을 하고 혈류가 모입니다.

따라서 오래 굶으면 기능이 떨어지죠.

아침에 소화력이 약한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저녁먹고 12시간 정도 굶은 상태. 하루 중 절반을 굶은 것입니다.

여기에 아침까지 거르면 17~18시간을 굶은게 됩니다.

당장은 문제가 없더라도 길게 보면 점차 소화기관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 밤 사이 굶었기 때문에 하루 중 아침 식사 직전이 혈당이 가장 낮습니다.

아침엔 조금이라도 탄수화물을 드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첫 끼니이고 소화력이 안좋은 만큼 따뜻한 걸 드시는게 좋습니다.

아침에 소화가 잘 안되시는 분들은 무리하지 마시고 밥 한숟갈락 혹은 시리얼바 하나로 시작해보세요.

 

7. 군것질

식사량이 적은 분들은 중간에 허기 져서 군것질을 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군것질 꺼리 중 과자나 빵이 흔한데 밀가루, 설탕 등 정제된 탄수화물 위주로 만들기 때문에

혈당을 급격하게 올려서 좋지 않습니다.

또 단 것을 많이 먹으면 느끼해서 오심, 구역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음식물이 들어가서 위산이 분비되었을때 소화시킬것이 빵 뿐이라면 위산이 남게 됩니다.

그러면 위염을 유발하게 됩니다.

군것질은 가급적 줄이시고 식사를 제대로 드시는게 좋으며

군것질을 하시려면 견과류를 드시는게 좋습니다.

포만감도 있을뿐더러 한식에 부족한 지방을 보완해주기 때문입니다.

 

8. 저염식
음식을 일부러 싱겁게 드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우선 고혈압 환자가 아니라면 일부러 싱겁게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소금은 무조건 나쁜게 아니라 과한게 나쁠뿐 우리 몸에 꼭 필요한 것입니다. 
뭐든지 과유불급이죠.
소금없이 삶은 계란을 먹는다고 생각해보세요. 생각만해도 체할것 같죠?
소금 뿐만 아니라 고추, 생강, 마늘 등 양념도 필요합니다.
적당한 소금간과 양념이 있어야 그것이 소화기관을 자극해 걔네들이 더 잘 운동하게 해줍니다.
그리고 예전에 썼는데 혈압이 높지 않은 분들이 저염식을 하면 
부신으로의 혈류가 감소해 호르몬 분비에 문제가 생겨 기운이 빠질 수도 있습니다.

'두꺼비 건강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열제  (1) 2023.12.20
의사들이 선호하는 감기약, 소화제  (0) 2023.08.05
식체  (0) 2023.08.01
복날의 의미  (0) 2023.07.14
예방의학 두번째 이야기  (0) 2023.04.27